QUICK MENU

“우주기술 개발…‘민간·국방’ 협업 강화해야”

2021-12-03 17:51

뉴스 토론회·세미나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링크 공유하기

지난 10월 우리 순수 독자 기술로 개발한 누리호가 고도 700km까지 도달하는 성과를 이뤘는데요.
국회 신성장산업포럼이 우주기술의 발전 방향과 과제를 알아보는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세계적으로 민간 주도의 우주개발이 가속화되는 뉴스페이스 시대에 들어섰는데,
전문가들은 국방 안보 중심으로 정부와 민간이 협업해 우주산업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동희 기자입니다.

현재 세계 우주산업의 규모는 약 298조 원. 이에 비해 국내 우주산업 규모는 3조 2천여억 원으로 세계 우주산업의 1%에 불과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국가우주위원회 위원장을 국무총리로 격상하고
국방과 민간이 함께 독자적인 우주기술을 개발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김진표 대표의원 / 국회 신성장산업포럼>
“각국의 전장이 우주로 확대되는 것에 발맞춰 대한민국도 민간 합동우주 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의 먹거리를 만들고, 강한 국방 우주력을 기반으로 우주 안보를 튼튼히 해야 된다.”

산업체들이 감시나 통신과 같은 국방 기술로 우주개발 시장의 교두보를 확보하는 방안이 제시됐고,

<김기근 국방우주기술센터장 / 국방과학연구소>
“국방을 선두로 해서 소형 저궤도 군집 위성을 추진하는 겁니다. 그 기반으로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국내 우주산업을 육성해서 국방 분야에서 특히 우주 무기체계를 기반으로 한 안보 동맹을…”

우주 발사체의 경우, 내년에 끝나는 한국형 발사체 사업은 설계와 제작, 운영을 한국우주연구원이 주관했지만, 결국 앞으로는 민간 기업이 제작을 맡아야 하는 만큼 산업체들의 자생력을 높이는 것도 중요해진 상황.

이를 위해서는 후속 사업이 끊겨 연구 인력이 이동하는 일이 없도록 연속성을 두고 산업화하는 게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이준 전략기획본부장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달 탐사할 때도 우리 발사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소행성 탐사하는 것까지도 우리가 적어도 국가 계획이 생겼을 때 기술적으로 발사체가 안 돼서 못한다는 말은 하면 안 되겠죠.”

위성 개발의 경우 아직은 민간 중심보다는 정부 기관들과 산업체들이 적절히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수주보다는 기술과 가격 경쟁에 몰입해야 각 기업의 고유 기술로 한국형 위성을 개발할 수 있고, 나아가 가격 경쟁력이 생기면 K-위성의 수출길도 열릴 수 있다는 겁니다.

<황홍연 연구위원 / LIG 넥스원 연구개발본부>
“각 기업에서는 자기들이 가지고 있는 기술을 바탕으로 설계 내용은 다를지라도 성능을 만족하면 동시 개발해서 동시 양산하는 게 어떤가. 우리나라가 강점으로 있는 5G, 6G 이동통신 이런 데 맞춤형으로 위성을 개발하면 경쟁력이 있지 않을까.”

토론에서는 새로운 기술 개발 방식을 제시해도 결국 스타트업들은 허들에 막히게 된다며, 젊은 세대를 적극 투입하는 등 건강한 산업 생태계를 만들어 세계 우주기술 시장으로 진출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국회방송 김동희입니다.


[NATV 태윤형 기자 / yhtae@na.go.kr]

본 기사의 저작권은 NATV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맨위로 가기 이전페이지로 가기